HP-UX

Device file 관련 명령어들

하이안 2008. 12. 5. 16:35

■ device file 리스트 보기

# ioscan -funC disk
   n 옵션을 붙이면 해당 H/W에 어떤 device file이 매핑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

또는

# lssf [h/w path]

예)
# lssf /dev/rdsk/c0t3d0



■ device file 만들기

1) Auto configuration
    시스템 리부팅 시 자동으로 만들어짐

2) insf
    그냥 # insf 하면 새로 추가된 device에 대해서만 device file을 만들어주고
    # insf -e 옵션을 주어야 기존의 것까지 새롭게 다시 만들어줌
    다 만들면 너무 오래 걸리니까 보통 # insf -eC disk 와 같이 클래스를 지정해줌

3) mksf
    이건 device file 에 옵션을 붙여서 만들때 사용하는 명령어 (보통 tape device에 사용)
    거의 쓸 일이 없으므로 생략

4) mknod
    가상의 device file을 만들때 사용하며 LVM에서 VG device file 만들때 사용함므로 중요

    # mknod /dev/vg01/group c 64 0x010000

    위 형식으로 만들며 뒤의 옵션들은
        /dev/vg01/group            만들 VG의 device file 이름 (항상 group이어야 함)
        c                                  device file type (character형으로 만들어야 함)
        64                                 device file의 Major number (LVM의 Class번호)
        0x010000                        device file의 Minor number (VG가 만들어진 순서)



■ device file 삭제하기

# rmsf

예)
# rmsf /dev/dsk/c0t3d0           block형 disk device file만 삭제
# rmsf -a /dev/dsk/c0t3d0       c0t0d0 disk에 관련된 모든 device file을 다 삭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