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G, PV 정보 확인
# strings /etc/lvmtab
■ VG Device File 만들기
① device file을 담을 sub directory 생성 (이건 관리자가 직접 생성해주어야 함)
# mkdir /dev/vg01
- VG은 순서대로 naming을 주는 것이 좋다. (device file 만들 때 minor number가 바로 VG 생성순서임)
- VG00은 OS설치 시 default로 생성됨 (root volume group)
② 해당 VG의 device file 생성 (이것도 수동으로 만들어줘야 하며 이름은 반드시 group으로 함)
이름은 반드시 group (character형만 만들면 됨)
↓
# mknod /dev/vg01/group c 64 0x010000 ← lvol 생성순서 (default로 00)
↑ ↑
↑ Minor number (VG 생성순서)
↑
Major number (lsdev로 검색해서 LVM의 class number 입력)
■ PV 만들기
# lvlnboot -v ← boot disk 확인 (이건 pvcreate 대상에서 제외)
# vgdisplay -v | grep "PV Name" ← 이미 VG에 할당된 PV 확인
# ioscan -funC disk ← PV로 만들 disk 확인
# diskinfo /dev/rdsk/c0t3d0 ← disk 정보 확인 (character형 device file 지정)
# pvcreate /dev/rdsk/c0t3d0 ← PV 생성 : raw (character) 형 device file 지정
만일, 다른 VG에서 사용하던 disk라면 -f 옵션을 주어서 강제로 PV를 생성해야 한다.
■ VG 만들기
# vgcreate vg01 /dev/dsk/c0t3d0 /dev/dsk/c0t4d0
VG name 뒤에 이 VG에 추가할 disk들을 나열한다 (block형이건 character형이건 상관없음)
다만 이 때 disk size가 서로 다르다면 반드시 용량이 큰 disk를 먼저 넣어줘야 한다!!
→ 먼저 넣은 disk의 크기로 PE를 계산하므로 나중에 넣은 disk가 더 용량이 크다면 먼저 들어간 disk size만큼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됨
# vgdisplay -v vg01 ← VG 정보 확인
# pvdisplay -v /dev/dsk/c0t3d0 ← PV 정보 확인 (VG에 할당된 후에나 확인 가능)
※ 만일 16개 이상의 PV를 포함하다면 vgcreate 에 -p 옵션을 주어야 한다. (MaxPhysicalVolumns 옵션, 디폴트 16)
추가 (2.2 버전인 경우)
# vgcreate -V 2.2 -S [vg-size] -s [pe_size] vg01 /dev/dsk/c0t3d0 /dev/dsk/c0t4d0
■ 나중에 VG에 PV를 추가하려면...
① 일단 위 내용을 참조해서 PV를 만들고
② VG 확장
# vgextend vg01 /dev/dsk/c0t5d0
③ 확인
# strings /etc/lvmtab
■ LV 만들기
lvol device file name (지정하지 않으면 default naming rule : lvol01, lvol02, ...)
↓
# lvcreate -L 16 -n mylvol vg01 ← lvol을 만들 VG 지정
↑
lvol size (MB)
# lvdisplay -v /dev/vg01/mylvol ← LV 정보 확인
'HP-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mount 할 때에 Device busy 메시지가 뜨면서 안될 경우 (0) | 2009.12.23 |
---|---|
웹(http) 파일 다운로드 (0) | 2009.03.12 |
LVM 및 File System 관리 (0) | 2008.12.05 |
File System (0) | 2008.12.05 |
LVM 관련 명령어 (VG 삭제) (0) | 2008.12.05 |
Device file 관련 명령어들 (0) | 2008.12.05 |
H/W Address 보기 (0) | 2008.12.05 |
HP-UX OS 확인 (0) | 2008.12.05 |
HP-UX H/W Spec 확인 (0) | 2008.12.05 |
File System Navigation에 유용한 명령어들 (0) | 2008.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