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pe CSS declaration script assignment TEST
cursor: default; element.style.cursor = "default";  
cursor: move; element.style.cursor = "move";  
cursor: hand; element.style.cursor = "hand";  
cursor: crosshair; element.style.cursor = "crosshair";  
cursor: wait; element.style.cursor = "wait";  
cursor: help; element.style.cursor = "help";  
cursor: w-resize; element.style.cursor = "w-resize";  
cursor: n-resize; element.style.cursor = "n-resize";  
cursor: e-resize; element.style.cursor = "e-resize";  
cursor: s-resize; element.style.cursor = "s-resize";  
cursor: nw-resize; element.style.cursor = "nw-resize";  
cursor: ne-resize; element.style.cursor = "ne-resize";  
cursor: se-resize; element.style.cursor = "se-resize";  
cursor: sw-resize; element.style.cursor = "sw-resize";  
UA cursor: auto; element.style.cursor = "auto";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Express] GridControl  (0) 2017.02.03
Team Foundation Server 체크아웃 강제 취소  (0) 2013.02.28
Windows 7에서 VB6 설치  (0) 2012.07.25
script 태그 defer 속성  (0) 2009.10.21
HTML 문자표  (0) 2009.01.22
ADO Cursor, Lock 타입  (0) 2008.12.03
SourceSafe Automated Backup  (0) 2008.12.03
SourceSafe에서 Project 분리시키기  (0) 2008.12.02
VS2005에서 CE 5.0 Emulator 사용하기  (0) 2008.12.02
OCA 파일이란?  (0) 2008.12.02
Posted by 하이안
,

Cursor

  • adOpenForwardOnly (0)
          기본타입,읽기만 가능하므로 속도는 가장 빠르다. 
          레코드의 추가/변경/삭제 변경 불가능. 오로지 앞으로만 이동 전진함.
  • adOpenKeyset (1)
          레코드 추가/수정/삭제 가능, 다른 사용자에 의해 추가/변경/삭제 시 재동기화 후 반영됨
  • adOpenDynamic (2)
          레코드 추가/수정/삭제 가능, 다른 사용자에 의해 추가/변경/삭제 시 즉시 반영됨
          성능상 부담이 많아 성능이 다소 저하될 수 있음
  • adOpenStatic (3)
          레코드 추가/수정/삭제 가능, 본인외 다른 레코드셋 추가/삭제는 볼 수 없음


Lock

  • adLockReadOnly (1)
          읽기전용으로 수정 불가
  • adLockPessimistic (2)
          한사용자가 레코드를 열고있는 동안은 다른 사용자가 레코드 변경 못하도록 잠금 (편집 시작 순간부터)
  • adLockOptimistic (3)
          데이터 수정시에만 레코드를 잠금 (업데이트 순간)
  • adLockBatchOptimistic (4)
          배치갱신모드 요구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am Foundation Server 체크아웃 강제 취소  (0) 2013.02.28
Windows 7에서 VB6 설치  (0) 2012.07.25
script 태그 defer 속성  (0) 2009.10.21
HTML 문자표  (0) 2009.01.22
CSS 마우스 커서 모양  (0) 2008.12.03
SourceSafe Automated Backup  (0) 2008.12.03
SourceSafe에서 Project 분리시키기  (0) 2008.12.02
VS2005에서 CE 5.0 Emulator 사용하기  (0) 2008.12.02
OCA 파일이란?  (0) 2008.12.02
VB 폼 이벤트 발생 순서  (0) 2008.12.02
Posted by 하이안
,
1. SourceSafe 자동으로 백업하기
  • 하루에 한 번 자동으로 백업이 되도록 한다.
  • 날짜로 구분되는 백업 파일을 생성한다. (예: 08-20-2000 Project Backup.ssa)
  • 왠만하면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프로그램만을 이용한다.

2. 배치파일 생성

    1. 다음과 같은 내용의 배치파일을 생성한다.

            ECHO OFF
            @TITLE Backuping up source safe databases
            FOR /F "tokens=1-3 delims=- " %%i IN ('date /t') DO SET DATE=%%i%%j%%k
            [SRCSAFE_PATH]\ssarc -d- -y[ACCOUNT],[PASSWORD] -s[SRC_SAFE_INI_PATH],[DATA_PATH] "BACKUP_DIR\%DATE%_FILENAME.ssa" [PROJECT]
            @ECHO Finished backups

    2. 생성한 파일을 필요에 따라 수정한다.

        * SRCSAFE_PATH 부분을 SourceSafe 설치경로로 변경 (예: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ourceSafe")
        * ACCOUNT, PASSWORD 부분은 SourceSafe의 Admin 계정과 패스워드로 적어준다.
        * SRC_SAFE_INI_PATH 부분을 백업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경로로 변경 (srcsafe.ini 파일이 있는 경로)
        * DATA_PATH 부분을 실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로로 변경 (보통 위의 경로 안에 있는 data 디렉토리)
        * BACKUP_DIR 부분을 백업파일을 두고자 하는 경로로 변경
        * FILENAME 부분을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
        * PROJECT 부분을 백업하길 원하는 VSS 프로젝트 이름으로 변경. 모든 데이터를 백업하려면 $/ 로 입력

         수정된 예)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ourceSafe\ssarc" -d- -yAdmin,12345678
         -s"D:\SourceSafe\TEST","D:\SourceSafe\TEST\data" "%DATE%_vss_backup.ssa" $/

    3. 이 파일을 어딘가에 저장한다. → "ss_backup.bat" 라고 저장


3. 배치파일 설명

    FOR /F "tokens=1-3 delims=- " %%i IN ('date /t') DO SET DATE=%%i%%j%%k

    FOR 명령어는 NT/2000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명령어로써 파일 목록과 텍스트 목록을 가공할 수 있게 해준다.
    /F 플래그를 붙여 실행하면 바로 다음에 오는 명령어를 실행한 결과를 가공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data /t'
    명령어 출력 결과를 가공하는 것이다. FOR는 '-' 글자를 기준으로 하여 'data /t' 명령의 출력을 토큰으로 분리하고
    이 중에 1번째 것부터 3번째 것까지를 %%i 변수부터 시작하여 %%k 변수까지에다 저장하는 것이다.
    그 다음 분리한 결과를 이용하여 환경 변수인 DATA에다가 날짜값을 집어넣는 것이다.

    주의할 것은 'data /t' 의 출력이 로케일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포맷을 잘 보고 delims 부분의 변수를 셋팅해야 한다.
    (예: American에서는 dd/mm/yyyy 포맷이므로 '/' 를 기준으로 분리해야 함)


4. 일정 시간마다 실행하기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서 제어판의 예약된 작업 (Scheduled Tasks) 을 이용하여 Schedule을 생성한다.


5. 복원 방법

    Source Safe Admin 프로그램에 보면 Restore Project 명령어가 있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7에서 VB6 설치  (0) 2012.07.25
script 태그 defer 속성  (0) 2009.10.21
HTML 문자표  (0) 2009.01.22
CSS 마우스 커서 모양  (0) 2008.12.03
ADO Cursor, Lock 타입  (0) 2008.12.03
SourceSafe에서 Project 분리시키기  (0) 2008.12.02
VS2005에서 CE 5.0 Emulator 사용하기  (0) 2008.12.02
OCA 파일이란?  (0) 2008.12.02
VB 폼 이벤트 발생 순서  (0) 2008.12.02
VB 변수 선언 시 변수타입 축약형  (0) 2008.11.28
Posted by 하이안
,

1. VSS 관련 파일 제거

    확장자가 scc, vssscc 인 파일들을 모두 삭제한다. (*.*scc* 로 검색하여 삭제)



2. Solution 환경설정 파일에서 VSS 관련 내용 제거

    "솔루션이름.sln" 에서 Global 세션에 "sourceCodeControl"이 있다. 해당 부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솔루션 바이너리 정보 파일인 suo 파일도 전부 삭제한다.



3. Project 파일에서 VSS 관련 내용 제거

    각 서브 프로젝트 파일 (vc는 vcproj, vb는 vbproj) 에서 "scc" 로 시작하는 문자열을 삭제한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7에서 VB6 설치  (0) 2012.07.25
script 태그 defer 속성  (0) 2009.10.21
HTML 문자표  (0) 2009.01.22
CSS 마우스 커서 모양  (0) 2008.12.03
ADO Cursor, Lock 타입  (0) 2008.12.03
SourceSafe Automated Backup  (0) 2008.12.03
VS2005에서 CE 5.0 Emulator 사용하기  (0) 2008.12.02
OCA 파일이란?  (0) 2008.12.02
VB 폼 이벤트 발생 순서  (0) 2008.12.02
VB 변수 선언 시 변수타입 축약형  (0) 2008.11.28
Posted by 하이안
,

http://www.hpc.net에서 Lewis Williams님이 작성하신 Connecting the CE 5.0 emulator to VS2005 포스트를 정리하였습니다. (임의로 추가, 삭제, 수정한 부분 있음)
원문은 http://www.hpc.net/chat.asp?ObjectID=97662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VS2005에서는 기본적으로 CE 5.0 Emulator 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ActiveSync 등을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킁 연결을 통해 CE 5.0 Emulator를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Windows CE 5.0 Device Emulator는 MS 사이트에서 별도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해야 함)


1. 아래와 같이 옵션을 주고 Emulator 프로그램 실행시킨다.

"C:\Program Files\Windows CE 5.0 Emulator\Emulator_500.exe" nk.cem
/video 640x480x16
/Ethernet virtualswitch
/sharedfolder "C:\CE5SharedFolder"


/video 옵션은 실제 사용할 장비의 해상도와 같게 해줌 (예: 240x320x16)
/sharedfolder 옵션을 주면 내 PC의 폴더를 공유해서 사용하므로 Emulator에서 \My Device\Storage Card 로 접근 가능하다.
(Emulator 실행 전에 우선 C:\CE5SharedFolder를 생성해주어야 함)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CoreCon\1.0\Target\wce400\x86 폴더를 열어서 다음 파일들을 C:\CE5SharedFolder 폴더로 복사한다. (경우에 따라 x86이 아닌 다른 폴더로 접근해야 함. 내 경우엔 armv4i 폴더로 접근해서 복사했음)

Clientshutdown.exe
CMAccept.exe
ConmanClient2.exe
eDbgTL.dll
TcpConnectionA.dll


Emulator 실행 후 \My Device\Storage Card로 접근해서 \My Device\Windows 폴더로 다시 복사한다..


2. Emulator에서 ConmanClient2 실행 (Start Menu → run → \Windows\conmanclient2.exe)


3. Emulator 네트워크 설정에서 고정 IP를 셋팅한다. (예: 192.168.1.108/24) 사내 사설 IP 정도면 무난.

※ 이 부분은 임의로 수정하였음. 원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Get the IP address of the emulator by double-clicking on the T networking symbol bottom left. If it has no ip address try installing Microsoft Loopback Adapter on the host, check for Virtual Machine Network Services, or other host networking hacks. (This is the difficult bit).


4. ping을 이용하여 Emulator가 응답하는지 체크


5. Emulator를 "Save State" 상태로 종료시킨다. 그 후 내 PC의 My Documents → My Virtual Machines 폴더로 이동


6. 폴더 안에 보면 {06A8A448-EB8B-4E0B-8A88-451412A10C66}과 같은 형식으로 폴더가 만들어져 있음. 이 폴더명이 GUID이므로 폴더명을 복사해놓는다. (폴더 자체가 아니라 폴더명 문자열을 복사한다)


7. 1번에서 Emulator를 실행시켰던 옵션에 아래의 문자열을 추가한다.

/vmid {06A8A448-EB8B-4E0B-8A88-451412A10C66}


8. 이제 Emulator의 마지막 저장 상태를 가지고 실행시킬 수 있다. (만일을 위해 위의 saved state folder를 백업해 놓음)


9. 이제 Visual Studio 2005를 실행시킨 후 상단 메뉴의 도구(Tools) → 옵션(Options) → 장치 도구(Device Tools) → 장치(Devices) 항목 선택


10. Windows CE 5.0 Device → 속성(Properties) → 구성(Configure) 선택


11. 장치 IP 주소 (Configure TCP/IP Transport) 박스에서 특정 IP 주소 사용 (Use specific IP address) 선택하고 Emulator의 IP Address를 입력한다. (예: 192.168.1.108)


12.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창을 닫음


13. Emulator에서 CMAccept.exe 실행한다. (Start -> run -> \Windows\CMAccept.exe)

그 후 3분 안에 아래의 14번 항목을 실행해야 함.


14. VS2005에서 솔루션을 오픈한 후 디버깅을 실행한다. (실행 전에 반드시 Emulator가 실행되어 있어야 하고 배포할 위치는 Windows CE 5.0 장치를 선택한다.) 그러면 VS2005는 nectcfv2.wce5.x86.cab 파일과 system_SR_enu.cab 파일을 우선 배포한다. (최초 1회만 실행하며 몇 분 정도 소요됨) 그 후 내가 만든 어플리케이션이 Emulator상에서 실행된다.


15. Emulator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16. Emulator를 "Save State" 상태로 종료시킨다.


17. 다음에 또 VS2005나 Emulator를 재시작하면 그 때마다 Emulator에서 CMAccept.exe를 실행시켜주어야 한다.


18. 위와 같은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해준다.
우선 내 PC에서 Programs →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 Visual Studio Remote Tools → 원격 레지스트리 편집기 (Remote Registry Editor)를 실행시킨다.


19. "Select a Windows CE Device" 박스가 뜨는데 여기서 "Windows CE 5.0 Device"를 선택한다. (아직 OK를 누르면 안됨)


20. Emulator에서 CMAccept.exe 를 실행시키고 그 즉시  원격 레지스트리 편집기 (Remote Registry Editor)에서 OK 버튼을 클릭해준다.


21. 왼쪽 트리에서 Windows CE 5.0 → HKLM (HKEY_LOCAL_MACHINE) → System 항목을 선택한다.


22. 오른쪽 패널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New → DWORD value 항목을 만든다.


23. Name 항목에 "CoreConOverrideSecurity" 이라고 입력한 후 값 (Value)를 1로 입력 후 저장한다. (Name 항목 입력 시 "" 없이 대소문자 구분 정확히)


24. 에디터 창을 닫고 Emulator를 "Save State" 상태로 종료시킨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7에서 VB6 설치  (0) 2012.07.25
script 태그 defer 속성  (0) 2009.10.21
HTML 문자표  (0) 2009.01.22
CSS 마우스 커서 모양  (0) 2008.12.03
ADO Cursor, Lock 타입  (0) 2008.12.03
SourceSafe Automated Backup  (0) 2008.12.03
SourceSafe에서 Project 분리시키기  (0) 2008.12.02
OCA 파일이란?  (0) 2008.12.02
VB 폼 이벤트 발생 순서  (0) 2008.12.02
VB 변수 선언 시 변수타입 축약형  (0) 2008.11.28
Posted by 하이안
,

OCA 파일이란?

프로그래밍 2008. 12. 2. 19:40

KB Article ID: K000855


[요약]

비주얼 베이직에서 사용하는 모든 커스텀 콘트롤파일 (.OCX)에는 파일이름과 동일한 .OCA 파일이 있다. 예로 GRAPH16.OCX는 GRAPH16.OCA 를 가지고 있다.
.OCA 파일은 확장된 타입라이브러리와 커스텀 콘트롤에 대한 캐쉬의 기능을 갖는 바이너리파일이다.


[추가 정보]

타입라이브러리는 expose된 오브젝트와 속성, 메소드의 OLE 오토메이션을 제공하는 파일 또는 컴포넌트이다. 실제 비주얼베이직에서 사용되는 타입라이브러리는 콘트롤 자신과 콘트롤을 Wrap하는 프레임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속성들의
타입라이브러리로 구성된다.

콘트롤의 속성은 콘트롤 자신과 프레임워크에 의해 제공된다. 프로그램적으로 프레임워크와 콘트롤의 속성들은 모두 콘트롤의 속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속성때문에 비주얼베이직은 콘트롤이 툴박스에 로드될때 확장타입 라이브러리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확장타입라이브러리를 읽고 생성하는 과정에 시간이 소비되기 때문에 비주얼베이직은 OCA 파일안에 확장타입라이브러리의 정보를 캐쉬하는
것이다.

만약 비주얼베이직 콘트롤의 OCA 파일으 삭제하였을 경우 비주얼 베이직은 그 콘트롤을 요구하는 프로젝트가 로드될때 다시 .OCA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 재생성과정은 시간을 소비하게 될 뿐이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7에서 VB6 설치  (0) 2012.07.25
script 태그 defer 속성  (0) 2009.10.21
HTML 문자표  (0) 2009.01.22
CSS 마우스 커서 모양  (0) 2008.12.03
ADO Cursor, Lock 타입  (0) 2008.12.03
SourceSafe Automated Backup  (0) 2008.12.03
SourceSafe에서 Project 분리시키기  (0) 2008.12.02
VS2005에서 CE 5.0 Emulator 사용하기  (0) 2008.12.02
VB 폼 이벤트 발생 순서  (0) 2008.12.02
VB 변수 선언 시 변수타입 축약형  (0) 2008.11.28
Posted by 하이안
,

폼이 로드될 때
1. Form_Initialize
2. Form_Load


폼이 로드된 이후
3. Form_Activate
4. Form_DeActivate


폼이 종료될 때
5. Form_QueryUnload and/or Form_Unload
6. Form_Terminate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7에서 VB6 설치  (0) 2012.07.25
script 태그 defer 속성  (0) 2009.10.21
HTML 문자표  (0) 2009.01.22
CSS 마우스 커서 모양  (0) 2008.12.03
ADO Cursor, Lock 타입  (0) 2008.12.03
SourceSafe Automated Backup  (0) 2008.12.03
SourceSafe에서 Project 분리시키기  (0) 2008.12.02
VS2005에서 CE 5.0 Emulator 사용하기  (0) 2008.12.02
OCA 파일이란?  (0) 2008.12.02
VB 변수 선언 시 변수타입 축약형  (0) 2008.11.28
Posted by 하이안
,

보통 INT 타입 변수 선언 시 As Interger 라고 하기도 하지만 소스 길이를 줄이기 위해서 변수 뒤에 %를 붙여서 선언하기도 합니다. 각각의 변수들의 축약형은 아래와 같습니다.

변수타입 축약형
 Integer
 Long  &
 Double  #
 Single  !
 Currency  @
 String  $


String 변수가 너무 많이 선언될 때 가끔 $형을 사용하긴 하지만... 그래도 소스의 가독성이 나빠지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7에서 VB6 설치  (0) 2012.07.25
script 태그 defer 속성  (0) 2009.10.21
HTML 문자표  (0) 2009.01.22
CSS 마우스 커서 모양  (0) 2008.12.03
ADO Cursor, Lock 타입  (0) 2008.12.03
SourceSafe Automated Backup  (0) 2008.12.03
SourceSafe에서 Project 분리시키기  (0) 2008.12.02
VS2005에서 CE 5.0 Emulator 사용하기  (0) 2008.12.02
OCA 파일이란?  (0) 2008.12.02
VB 폼 이벤트 발생 순서  (0) 2008.12.02
Posted by 하이안
,